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실시되는 제21대 대통령 선거! 2025년 6월 3일, 우리 미래를 결정짓는 선거의 날입니다. 참여는 선택이 아닌 책임입니다. 일정과 절차를 미리 숙지하고 제대로 준비해보세요.
이번 대선은 왜 특별한가요?
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헌정 사상 두 번째 탄핵으로 인해 조기 실시되는 선거입니다.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인용하면서, 선거 일정이 앞당겨졌죠.
대통령이 바뀌는 것, 단순한 리더 교체 같지만 사실 그 이상입니다. 나라의 방향, 우리의 삶의 질, 그리고 다음 세대의 기준까지 바꾸는 중대한 전환점이에요. 한 표가 만들어내는 파급력, 생각보다 큽니다.
제21대 대통령 선거 전체 일정표
구분 | 일정 | 비고 |
---|---|---|
예비 후보 등록 시작 | 2025년 4월 4일 | 탄핵 인용 후 즉시 개시 |
후보자 등록 | 2025년 5월 10일 ~ 11일 | 양일간 접수 |
공식 선거운동 | 2025년 5월 12일 ~ 6월 2일 | 22일간 |
사전투표 | 2025년 5월 30일 ~ 31일 | 오전 6시~오후 6시 |
본투표 | 2025년 6월 3일 | 오전 6시~오후 6시 |
이런 사람이라면 꼭 투표해야 해요
사실 투표는 다들 해야 하지만, 아래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더더욱 중요합니다.
- 청년 실업, 부동산, 세금 문제에 화가 나 본 적 있다면
- 정치 혐오를 느꼈지만, “그나마 낫게”라도 바꾸고 싶다면
- 아이 키우는 부모로서 교육 환경이 걱정된다면
- 지금보다 나은 대한민국을 원한다면
투표 절차 간단 정리
처음 투표하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이죠. 어렵지 않아요!
1. 신분증 챙기고 투표소 방문
2. 본인 확인 후 투표용지 수령
3. 기표소에서 한 명만 선택해서 표시
4. 투표함에 넣으면 끝!
사전투표는 주소지 무관하게 전국 어디서든 가능하다는 점도 꼭 기억하세요.
꼭 알아야 할 유권자 실천 가이드
행동 | 설명 |
---|---|
후보 검증 | 중앙선거관리위원회나 공보물을 통해 공식 정보 확인 |
허위정보 구별 | SNS나 단톡방의 소문은 반드시 팩트 체크 |
공정한 참여 | 지나친 선동 금지, 타인 설득도 법적 선 안에서 |
자주 묻는 질문 (FAQ)
사전투표는 꼭 주소지에서 해야 하나요?
아니요!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든 가능합니다. 다만 본투표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할 수 있어요.
신분증 대신 모바일 운전면허증도 가능한가요?
네. 정부24 모바일 신분증, PASS앱의 모바일 운전면허증도 본인 확인용으로 인정됩니다.
사전투표 했다면 본투표는 안 해도 되나요?
맞습니다. 중복투표는 안 되며, 사전투표 한 경우 본투표는 자동 제외됩니다.
해외에 있어도 투표 가능한가요?
재외국민 등록을 한 경우 가능합니다. 재외공관에서 지정된 기간에 투표하실 수 있어요.
마스크는 꼭 써야 하나요?
현재 기준으로 의무는 아니지만, 권장되고 있습니다. 특히 사람이 붐빌 땐 꼭 착용해주세요.
투표소는 어디서 확인하나요?
중앙선관위 '내 투표소 찾기' 서비스에서 주소 입력만 하면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.
맺음말
2025년 6월 3일, 우리는 새로운 대통령을 선택합니다.
선택은 곧 책임이고, 참여는 곧 변화입니다.
“내 한 표로 뭐가 바뀌겠어?”라고 생각했던 적 있다면, 바로 그때가 바꿔야 할 순간이에요.
이번에는 나부터, 바로 지금부터 움직여 봅시다.